(2023.05.17) 식품소분업체인 ‘㈜움트리(경기 포천시 소재)’가 소분∙판매한 ‘별이 빛나는 옥수수 빵가루(식품유형: 곡류가공품)’에서 아플라톡신이 기준치[총 아플라톡신(B1, B2, G1 및 G2의 합)으로서 15.0 ㎍/㎏ 이하, 단, B1은 10.0 ㎍/㎏ 이하]보다 초과(총 아플라톡신으로서 22.0 ㎍/㎏, B1은 17.6 ㎍/㎏) 검출되어 해당 제품을 판매 중단하고 회수 조치하였습니다.
회수 대상은 소비기한이 ‘2023.9.20.까지’로 표시된 제품입니다. 회수 대상 제품은 아래와 같으며, 구매하셨다면 반품해 주세요.
회수 대상 제품 | |||||||
소분업체 (소재지) |
제품명 (식품유형) |
소비기한 | 내용량 | 소분생산량 | 검사결과 | ||
검사항목 | 기준 (㎍/kg) |
결과 (㎍/kg) |
|||||
㈜움트리 (경기 포천) |
별이 빛나는 옥수수 빵가루 (곡류가공품) |
2023.09.20. | 300g | 909kg | 총 아플라톡신 (B1, B2, G1 및 G2의 합) |
15.0이하 (단, B1은 10.0 이하) |
22.0 (17.6) |
900g | 2,160kg |
내용량 | 제품 사진 | |
300g | ![]() |
![]() |
900g | ![]() |
![]() |
식품안전나라 > 회수판매중지 https://www.foodsafetykorea.go.kr/portal/fooddanger/suspension.do?menu_no=4408&menu_grp=MENU_NEW02 |
식약처는 해당 제품을 신속히 회수하도록 조치했으며, 해당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는 섭취를 중단하고 구입처에 반품하여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. 아울러 식품 관련 불법 행위를 목격한 경우 불량식품 신고전화(1399)로 신고 당부를 하였습니다.
▶ 아플라톡신(Aflatoxin)은 세계보건기구(WHO) 산하 국제암연구소(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, 이하 IARC)에서 1군 인체 발암물질로 분류
▶ 1군 발암물질은 ‘인간에게 암을 유발하는 것이 확실한(Carcinogenic to humans) 그룹'
▶ 1군 발암물질로 우리가 흔하게 취급하거나 들어봤던 것들은 알코올(술), 육가공품(햄, 소시지 등), 담배 등을 비롯해 민물고기 회에 많은 간흡층(간디스토마) / 벤젠, 포름알데히드, 카드뮴, 비소, 석면도 바로 1군 발암물질로 분류되어 있음
아플라톡신(Aflatoxin)은 Aspergillus flavus 등이 생산하는 곰팡이독으로 발암성이 있는 독성물질이다. 주로 산패한 호두, 땅콩, 캐슈넛, 피스타치오 등의 견과류에서 생긴다.
아플라톡신은 토양, 썩어가는 식물, 건초 및 곡물에서 자라는 특정 곰팡이 (Aspergillus flavus 및 Aspergillus parasiticus)에 의해 생산되는 독성 및 암을 유발하는 화학물질이다. 그들은 정기적으로 카사바, 칠리 페퍼, 옥수수, 면실, 기장, 땅콩, 쌀, 참깨, 사탕수수, 해바라기씨, 견과류, 밀 등이 부적절하게 보관된 제품에서 발견된다.
오염된 식품이 처리될 때, 아플라톡신은 일반 식품 공급 물에 들어가서 애완동물과 사람의 식품뿐만 아니라 축산동물용 사료에서도 발견된다. 오염된 사료를 섭취한 동물은 아플라톡신 변이 생성물을 알, 유제품 및 고기에 전달할 수 있다. 예를 들어 오염 된 가금류 사료는 아플라톡신으로 오염 된 닭고기와 계란이 파키스탄에서 높은 비율로 발견된 것으로 의심된다.
특히 아플라톡신에 노출되면 성장 장애, 발달 지연, 간 손상 및 간암을 유발한다. 성인은 노출에 대한 내성이 높지만 안전하지는 않다. 동물은 면역이 없다. 아플라톡신은 알려진 가장 발암성이 강한 물질 중 하나이다. 몸에 들어가면 아플라톡신은 간에서 반응성 에폭시드 중간체로 대사되거나 덜 유해한 아플라톡신 M1이 되도록 하이드록실화 될 수 있다.
아플라톡신은 경구섭취가 일반적이며 가장 독성이 강한 아플라톡신B1은 피부를 통해 침투할 수 있다.
식품 또는 사료에 함유된 아플라톡신의 미국 식품 의약청 (FDA) 조치 수준은 20 ~ 300ppb이다. FDA는 노출방지를 위한 사전 예방조치로 인간과 애완동물의 오염된 식품에 대해 회수를 선언할 수 있다.
용어 "아플라톡신"은 그것을 생산하는 곰팡이 중 하나인 Aspergillus flavus의 이름에서 파생되었다. "칠면조질병"의 원인으로 그것의 발견 후에 1960년 즈음에 "아플라톡신"이라는 단어가 만들어졌다.
<출처> 위키백과 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C%95%84%ED%94%8C%EB%9D%BC%ED%86%A1%EC%8B%A0
▼ 참고 및 출처
식품의약품안전처 > 알림 > 보도자료 https://www.mfds.go.kr/brd/m_99/view.do?seq=47256&srchFr=&srchTo=&srchWord=&srchTp=&itm_seq_1=0&itm_seq_2=0&multi_itm_seq=0&company_cd=&company_nm=&page=2
'응답하라_음식식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응답하라) 아스파탐(감미료,Aspartame), 발암 가능성 / 발암물질2B군 (0) | 2023.07.14 |
---|---|
(응답하라) A형 간염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된 수입 염장젓, 어리굴젓(양념젓갈) 회수 조치 (1) | 2023.05.19 |
(응답하라) 65세 이상 고령자, 식품첨가물 섭취 평가 결과 → 안전한 수준 (1) | 2023.05.17 |
(응답하라) 태국칡(국내사용금지) 함유된 일본산 건강기능식품 회수 조치 / 우마레가와루(꽃처럼피어나다) (2) | 2023.05.15 |
(응답하라) 50 이후, 더/ 갈매나무 / 재미있게 나이 드는 법 / 음식 궁합을 따져보는 연습 (0) | 2023.04.23 |
댓글